[Impala] Data Types 정수 자료형 Impala에서는 다음과 같이 네 종류의 정수 자료형을 제공하며 각각 차지하는 공간과 범위가 다르다. 오라클의 TO_CHAR(), TO_NUMBER() 와 같이 숫자와 문자열을 바꿀수 없고 CAST(SOME_COLUMN_NAME as datatype_to_cast) 함수를 이용해 변형하고자 하는 타입을 지정해주어야하는데 테이블을 설계할 때 잘못하면 지원 범위를 넘어서는 숫자가 생겨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해야할 것 같다. 번거롭긴 하지만 […]
[Docker] 실행 중인 Container에 포트 추가하기
[Docker] 실행 중인 Container에 포트 추가하기 cloudera/quickstart 도커 이미지를 이용해서 로컬 테스트를 하던 중 drill 을 추가로 설치했는데 drill 웹 서비스 포트는 기존에 포트 맵핑을 해두지 않았기 때문에 새롭게 추가해야만 했다. 이미 컨테이너로 실행 중인 상태에서 동적으로 포트 포워딩 룰을 추가해줄 수 없고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종료하고 현재 상태를 이미지로 만든 뒤, 해당 이미지로 다시 실행해야한다고 […]
[Python]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문제 우회
인터넷 연결이 자유롭지 않은 사설망에서 이런 문제가 종종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인증서 검증 단계를 무시해주는 것으로 우회(?)할 수 있다. 물론 신뢰받지 못한 호스트에 https 연결을 하는 것은 보안 측면에서 위험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알고있어야 한다. pip 을 이용해서 패키지를 설치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면 Collecting encodings Retrying (Retry(total=4, connect=None, read=None, redirect=None, status=None)) […]
[ElasticSearch] 검색엔진 만들기 4 – Flask 웹서비스
[ElasticSearch] 검색엔진 만들기 4 – Flask 웹서비스 elasticsearch에 필요한 데이터는 다 색인해뒀기 때문에 검색엔진 자체는 다 만들어졌고 서비스를 위해서 적당한 UI 만 있으면 될 것 같다. 기존 운영하는 웹페이지에 이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게 모듈형태로 만들어서 간단한 스크립트로 해당 검색 엔진을 불러오게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이것만으로 완전한 독립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이어서 크게 단계를 나누어서 만들지는 […]
[ElasticSearch] 검색엔진 만들기 3 – Python 검색 모듈 만들기
[ElasticSearch] 검색엔진 만들기 3 – Python 검색 모듈 만들기 IMS 데이터는 앞서 Elasticsearch에 인덱싱 해두었고 이를 검색하는 모듈을 Python API 를 이용해서 만들어본다. Python Flask로 만들면 웹서비스를 직접 할 수도 있고 다른 프레임워크에 이식하기 위한 HTTP API 를 만들어내기도 간편한 것 같다. 쿼리 템플릿 먼저 검색에 사용할 쿼리를 만들어야하는데 kibana dev tools 에서 SQL 툴처럼 […]
[ElasticSearch] 검색엔진 만들기 2 – IMS 데이터 크롤링
[ElasticSearch] 검색엔진 만들기 2 – IMS 데이터 크롤링 Selenium, BeautifulSoup 를 이용해서 IMS 이슈 페이지 Crawler 를 만든다. 기초적인 부분은 [여기]()를 참고. 단위 크롤러 수집할 이슈 번호에 대한 리스트를 만들어 한번에 수집하고 Elasticsearch에 인덱싱 하는 IndexIssueList 함수를 만들었다. (IMS 는 이슈 번호를 URL(https://ims.tmaxsoft.com/tody/ims/issue/issueView.do?issueId=) 에 변수로 대입해서 각 이슈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다.) _LOGIN_ID = "IMS_USERNAME" […]
[ElasticSearch] 검색엔진 만들기 1 – Mac에 ElasticSearch, Kibana 설치
기존에 만들었던 IMS 검색엔진의 아이디어들을 정리하면서 동시에 Mac과 친해질 겸 Mac 환경으로 진행할 예정. 그리고 기존 검색엔진은 ELK 6 버전에서 만들었었는데 7 버전에서 구현해보며 최신 버전 체험도 해보려고 한다. 서버에 있던 소스들을 Mac 로컬 환경으로 내려받아 구동해보려고 했더니 index 만드는 것부터 변경 사항이 있었고, Search API에도 type 구조가 드디어 없어지면서 달라진 부분이 바로 눈에 띄었다. […]
[Mac] 단축키 정리
[Mac] 단축키 정리 Windows의 윈도우키를 이용한 단축키들과 비슷하게 맥에서도 Command 키를 이용한 단축키가 있긴한데 Control 키와 이래저래 조합이 되면서 좀 더 복잡한 것 같다. Windows 에서 자주 사용하던 기능들 위주로 먼저 정리해두고 새로 배우게될 때마다 추가로 정리해야겠다. 방향 이동 및 텍스트 편집 익숙한 윈도우에서의 단축키와 비교하면 윈도우 맥 Home command+← End command+→ PageUp option+↑ PageDown […]
HC님을 위한 WordPress & NextCloud 설치 절차 Part 2
HC님을 위한 WordPress & NextCloud 설치 절차 Part 2 freenom.com 무료 도메인은, 루트 도메인에 CNAME 주소(iptime ddns)를 매핑할 수 없는것같다. A Record 만 루트 도메인으로 지정할 수 있는 듯 기존에 하려고 했던 example.com 대문 example.com/blog 블로그 example.com/drive 클라우드 스토리지 위와 같은 구성 대신 다음과 같이 서브 도메인 주소를 이용해서 웹서비스를 분리할 예정. example.com / www.example.com […]
HC님을 위한 WordPress & NextCloud 설치 절차 Part 1
HC님을 위한 WordPress & NextCloud 설치 절차 Part 1 CentOS7 1810 버전 기준 사전 준비 사용자 및 디렉토리 생성 사용자 skia:hckim 디렉토리 앞서 생성한 사용자에 다음 경로에 대한 권한을 부여한다. /sw /sw/openssl /sw/httpd /sw/mysql /sw/php /data2 /data2/mysql /data2/drive /data2/docs 시스템 라이브러리 설치 yum -y install apr-devel apr-util-devel curl-devel pcre-devel libxml2-devel libwebp-devel libjpeg-devel libpng-devel libXpm-devel libicu-devel […]